본문 바로가기
money/주식

YieldMax 중에서 단일 1등 추천은 JEPQ(JPMorgan Nasdaq Equity Premium Income ETF) 또는 JEPI

by all세상의모든지식 2025. 8. 11.
728x90
반응형

향후 30년 보유 + 원금 크게 훼손되지 않음 + 꾸준한 월배당 + 적당한(중고위험) 수익 — 으로 보면,
YieldMax 중에서 단일 1등 추천은 JEPQ(JPMorgan Nasdaq Equity Premium Income ETF) 또는 JEPI(JPMorgan Equity Premium Income ETF) 쪽이에요.

> 둘 다 “일드맥스”라는 좁은 브랜드보다는 커버드콜 고배당 ETF 범주에 속하지만, 질문하신 월 현금흐름 + 장기 안정성이라는 기준에선 YieldMax 종목들보다 훨씬 적합합니다.





---

1등 후보: JEPQ

기초자산: 나스닥100 대형주

배당방식: 커버드콜 프리미엄 + 배당금 혼합, 월 분배

평균 연 분배율: 최근 10~12% 수준

변동성: QQQ보다 낮음(콜옵션 매도 효과)

장점

나스닥 성장성을 일부 유지하면서도 매월 배당금 확보

대형 기술주 위주라 개별 종목 리스크 완화

운용사가 JP모건(안정성·규모)


단점

강한 상승장에서 수익률이 QQQ보다 낮음(상승캡 존재)

배당금이 매월 동일하지 않음(변동성·옵션 프리미엄에 따라 변동)




---

왜 YieldMax 단일 종목보다 JEPQ를 추천하나

1. 30년 장기 버팀성

YieldMax 단일 기초자산(TSLA, NVDA, COIN 등)은 30년간 주가·산업구조 변화 리스크가 너무 큼.

JEPQ는 100개 대형 나스닥 종목으로 분산되어, 특정 산업·기업 리스크를 최소화.



2. 원금 방어력

고변동 종목 기반 YieldMax는 하락장에서 NAV 훼손이 커서 회복이 오래 걸림.

JEPQ는 나스닥 대형주 분산 + 커버드콜로 하락폭 완화.



3. 꾸준한 월배당

YieldMax는 변동성 감소 시 배당이 크게 줄 수 있음.

JEPQ는 배당 변동폭이 있어도, 장기 평균은 10% 근처 유지.





---

JEPQ 운용 예시(3천만 원 기준)

초기 진입: 3천만 원 중 70%를 JEPQ, 30%는 현금/단기채

월배당 재투자: 필요 시 일부 생활비 사용, 나머지는 JEPQ 추가매수

조정 규칙

나스닥200일선 하락 시 비중 50%로 줄이고 현금 보유

IV(변동성) 높을 때는 현금 일부로 추가매수





---

📌 정리

1등 추천: JEPQ (30년 버티기 + 월배당 + 성장성 유지)

안정성 더 원하면: JEPI (S&P500 기반, 변동성 더 낮음, 배당 7~9%)

수익률 욕심↑, 리스크 감수 가능: JEPQ + 일부 YieldMax 수익형(TSLA 등) 혼합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