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이 하는 호르몬 대사 기능
■ 요약 정리 표

호르몬 종류 대사 기능
갑상선 호르몬 T4 → T3 활성형 전환 (디아이오디네이스 작용)
스테로이드 호르몬 코티솔·알도스테론 등 부신피질 호르몬 불활성화, 수용성 물질로 배설 준비
성호르몬 에스트로겐·안드로겐 대사 및 배설, 결합형(황산·글루쿠로니드) 전환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IGF-I 합성 및 운반단백(IGFBP) 조절
비타민 D 활성화 25(OH)D → 1,25(OH)2D 전환 효소 조절 (1α-하이드록실화)
---
서론 – 간, 체내 호르몬 균형의 중추
간은 해독과 대사로 잘 알려져 있지만, 호르몬 대사 기능 역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호르몬은 체내 신호 전달 물질로서 극소량으로도 강력한 생리 작용을 일으키는데, 간은 이들 호르몬의 활성·불활성 전환과 배출 준비를 책임지며 항상성을 조절합니다.
특히 갑상선호르몬, 부신피질호르몬, 성호르몬, 성장인자, 비타민 D 등 주요 호르몬의 대사 과정에서 간이 수행하는 효소 활성화·불활성화 과정은 우리 몸의 에너지 생산, 면역 반응, 생장, 대사 균형에 직결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간이 관여하는 대표적인 호르몬 대사 기능을 중심으로 그 메커니즘과 중요성을 살펴보겠습니다.
---
본론
1. 갑상선호르몬 활성화와 불활성화
1-1. T4 → T3 전환
간은 디아이오디네이스 효소를 통해 주로 T4(티록신)를 활발한 형태인 T3(트리요오드티로닌)으로 변환합니다. 이 과정은 기초 대사율 조절과 체온 유지, 심장 기능 등에 필수적입니다.
1-2. 불활성호르몬 생성
역 디아이오디네이스가 T4를 역T3로 전환하여 호르몬 과잉 상태를 억제하고, 과다 반응을 방지합니다.
2. 스테로이드 호르몬 불활성화
2-1. 코티솔 대사
간은 11β-HSD(11β-하이드록시스테로이드 탈수소효소) 효소로 코티솔을 불활성 형태인 코르티손으로 전환해 스트레스 반응을 조절합니다.
2-2. 알도스테론 및 기타 스테로이드
수용성 대사산물로 전환해 콩팥을 통한 배출을 용이하게 합니다.
3. 성호르몬 대사
3-1. 에스트로겐 대사
간은 에스트라디올을 에스트론 또는 불활성 황산-글루쿠로니드 형태로 전환하여 배설 경로로 연결합니다.
3-2. 안드로겐 대사
테스토스테론을 안드로스텐디온 등으로 대사한 후 배설 준비를 합니다.
4.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IGF) 조절
간은 성장호르몬 자극 아래 IGF-I를 합성하고, IGFBP(IGF 결합 단백) 생성을 조절해 순환체 내 IGF-I의 반감기와 조직 분포를 관리합니다.
5. 비타민 D 활성화
5-1. 25(OH)D → 1,25(OH)2D 전환
간에서 25-하이드록실화된 비타민 D 전구체를 1α-하이드록실화 효소에 전달해 칼슘·인 대사를 조절하는 활성형 비타민 D로 만드는 데 기여합니다.

결론 – 간 건강이 곧 호르몬 균형입니다
간은 호르몬의 활성화·불활성화, 운반단백 생성, 배설 준비 등 체내 호르몬 균형의 중추 역할을 합니다. 간 기능이 저하되면 호르몬 대사 장애로 이어져 대사 증후군, 갑상선 기능 저하, 부신 기능 이상, 골다공증 등의 다양한 질환 위험이 증가합니다.
따라서 간 건강을 지키기 위해 절주, 균형식사, 규칙적 운동, 약물 복용 관리, 정기 검진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간이 건강할 때 우리 몸의 호르몬 균형도 안정됨을 잊지 마시고, 오늘부터 간 관리에 관심을 기울이시기 바랍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방간 (비알콜성 지방간, 알콜성 지방간) (0) | 2025.06.24 |
---|---|
간 혈류 감소와 기능 저하 (0) | 2025.06.23 |
간 효소(AST, ALT) 수치의 의미 (0) | 2025.06.16 |
노화로 인한 간 기능 저하 원인 (0) | 2025.06.15 |
간의 주요 기능: 해독, 단백질 합성, 지방대사 (2) | 2025.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