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지방간 (비알콜성 지방간, 알콜성 지방간)

by all세상의모든지식 2025. 6. 24.
728x90
반응형

지방간 (비알콜성 지방간, 알콜성 지방간)

■ 요약 정리 표


구분 비알콜성 지방간(NAFLD) 알콜성 지방간(ALD)

주요 원인 비만, 인슐린 저항성, 대사증후군 과도한 알코올 섭취
병태생리 간세포 내 중성지방 축적 → NASH → 섬유화/간경변 에탄올 대사 독성 → 지질 축적 및 염증 → 섬유화
주요 증상 무증상 또는 피로, 우상복부 불편감 피로, 구역, 구토, 황달, 복수
진단 방법 초음파, CT/MRI, FibroScan, 간 효소(AST/ALT) 임상력, 영상검사, 간 효소, 생검
치료·관리 전략 체중 감량, 식이조절, 운동, 인슐린 감작제, 간 보호제 절주·금주, 영양 지원, 항산화제, 간 보호제



---

서론 – 지방간, 간 건강의 경고 신호

지방간은 간세포에 중성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된 상태를 말하며, 비알콜성 지방간(NAFLD)과 알콜성 지방간(ALD)으로 구분됩니다. 초기에는 무증상인 경우가 많지만, 방치하면 비알콜성 지방간염(NASH)이나 간경변, 간암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방간의 조기 진단과 원인별 맞춤 관리가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NAFLD와 ALD의 원인 및 병태생리, 임상 증상, 진단 방법, 치료 및 관리 전략을 살펴보겠습니다.


---

본론

1. 비알콜성 지방간(NAFLD)

1-1. 병태생리

인슐린 저항성: 과잉 포도당이 지방산으로 전환되어 간에 축적

지질 과축적: 간세포 내 중성지방이 5% 이상 축적되면 지방간 진단

NASH 전환: 염증과 세포손상 동반 시 진행성 간손상 유발


1-2. 위험인자

비만, 제2형 당뇨, 고지혈증, 고혈압, 대사증후군

유전적 소인(PNPLA3, TM6SF2 변이)


1-3. 임상 증상

대부분 무증상, 피로감, 우상복부 둔통

비정상 간 기능 검사(AST/ALT 상승)


1-4. 진단 방법

영상검사: 초음파(간 밝기 증가), CT/MRI 신호 변화

FibroScan: 간 경도 측정으로 섬유화 정도 확인

혈액검사: AST/ALT, 알부민, 인자별 지표


1-5. 치료·관리 전략

생활습관 개선: 체중 7–10% 감량, 저탄수화물·저지방 식이, 유산소·근력운동 주 150분

약물치료: 인슐린 감작제(피오글리타존), 글루타티온, 베타차단제 연구 중

간 보호제: 우루소데옥시콜산, 실리마린


2. 알콜성 지방간(ALD)

2-1. 병태생리

에탄올 대사: 아세트알데하이드 생성 → 지방산 합성 증가 및 산화 감소

염증 유발: 사이토카인(TNF-α) 분비, 활성산소 스트레스 증가


2-2. 위험인자

주당 알코올 섭취량(남성 30g, 여성 20g 이상)

흡연, 영양 불균형, 특정 인자(성별, 유전)


2-3. 임상 증상

초기 피로, 황달, 복수, 식욕 부진, 근위축


2-4. 진단 방법

임상력: 음주력 평가

영상검사: 초음파, CT로 간 지방축적 및 섬유화 소견 확인

생검: 알코올성 간염, 간경변 정도 파악


2-5. 치료·관리 전략

절주·금주: 절대 금주가 최우선

영양 지원: 고단백·고칼로리 식이, 비타민 B·E 보충

약물치료: 스테로이드, 펜토산팔미테이트, 항산화제

간 보호제: UDCA, 실리마린


3. 공통 관리 원칙 및 예방

3-1. 정기 검진

6–12개월 간 기능 검사, 영상 추적 관찰


3-2. 대사증후군 관리

체중·혈당·지질·혈압 통합 관리


3-3. 간 손상 진행 모니터링

섬유화 지표(FibroScan, ELF score) 활용



결론 – 지방간 관리는 생활습관을 바꾸는 것부터 시작입니다

NAFLD와 ALD는 원인만 다를 뿐 간세포 지방축적과 염증을 통해 진행성 간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조기 진단과 생활습관 교정이 가장 효과적인 치료이며, 약물·간 보호제는 보조 수단입니다. 특히 비만·음주·대사증후군 관리는 지방간 예방의 핵심입니다.

오늘부터 식단과 운동 습관을 점검하고, 음주량을 조절하여 간 건강을 지키시기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